나이언틱 웨이페러(Niantic Wayfarer) 평가 매크로 (쿨다운 안걸리는 방법 포함)
포켓몬고(혹은 인그레스)를 할 때 스탑(혹은 포탈) 신청을 할 때 매번 등급을 설정하는 것은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역사 및 문화가치 시각적특색 안전하게 접근가능 여부 이 3가지 점수를 매번 계산해서 입력하기가 너무 번거로워 5점씩 책정하다 쿨다운이 걸린 적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4시간짜리 쿨다운에서 나중에는 24시간이 되었습니다. 거의 시작하자마자 걸리다보니 다른 해결책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인터넷에 찾아보니 매번 같은 점수를 주게 되면 쿨다운에 걸린다는 얘기가 있어 매번 다르게 점수를 책정해보았지만 별반 달라진 것 없이 쿨다운에 걸렸습니다. 계속 생각하다 심사속도 때문에 쿨다운에 걸리는 것이 아닌지 확인을 해보았습니다. 예전에는 네이버지도, 다음지도 등을 찾아보면서 실제 위치가 맞는지 찾아보기도 하고 해서 1개를 평가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지만, 이제는 그런 것 없이 바로 점수를 책정하다보니 심사시간이 매우 짧아졌습니다. 짧으면 5초안에 심사가 완료 되었으니, 나이언틱에서 제대로 평가안한다고 쿨다운을 걸리게 하는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시간대를 조절해가면서 실험해본바 1개를 평가할 때 대략 35초 정도 걸리면 쿨다운에 걸리지 않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심사 빨리 끝나서 빨리 제출하면 빠르다고 쿨다운, 제한시간 내지만 평균제출속도가 빠르다 싶으면 쿨다운이 걸리는 느낌이었습니다. 왠지 자동차로 따지면 과속단속과 구간단속을 함께 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1개 평가할 때 30초로도 해보았는데, 로봇이냐고 물어보는 일도 잦아 쿨다운의 기운이 느껴져 포기했습니다. 1개당 35초로 했을 때는 로봇이냐고 물어보는 일도 현저하게 줄고 한 것을 보았을 때, 나이언틱에서 제한을 한 것이 1시간(60분)에 100개 정도로 제한을 걸어놓은 것 같았습니다. (어디까지나 저의 가설) 즉, 1개당 30초가 걸리면 1시간에 120개를 할 수 있으니, 쿨다운이 걸리겠지요. 그래서 아슬아슬하게 32~33초로 하기보다는 조금 더 넉넉하게 35초로 정해서 작업을 하였습니다. 어떻게 시...